PIPELINE

Based on innovative scientific achievements,
Pimedbio's first-in-class drugs
  • home
  • Pipeline
  • Oncology

Oncology

PMB212 : 암 줄기성을 제거하는 항암제

암은 여전히 치료가 어려운 질환으로,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높은 분야입니다.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의 크기를 줄이는 데 집 중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약제 내성(Resistance)이 생겨 재발과 전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940년대 첫 항암제가 등장한 이후,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었지만, 항암제 내성 문제로 완치를 기대하기는 여전히 어렵습니다.
최근 종양생물학 연구를 통해 암의 발생, 재발, 전이의 주요 원인이 암줄기성(Cancer stemness)임이 밝혀졌습니다.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는 전체 종양 덩어리(Tumor mass)의
2% 미만을 차지하지만, 스스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Self-renewal)을 갖고 있으며, 주로 휴면 상태로 존재하면서 약물 저항성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암줄기세포들은 기존 항암제에 다양한 저항성 기전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기존 항암 치료들이 오히려 암줄기성을 유발한다는 점입니다.
화학치료와 표적치료 뿐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와 면역치료 역시 암줄기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Drugging Informatics기술을 활용하여,
암줄기성과 관련된 다양한 신호경로들의 활성화에 참여하는 Pin1을 표적으로 선정하고 이를 저해하는 새로운 기전의 암줄기성억제 항암제 PMB212를 발굴하였습니다.
PMB212는 특정 표적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암줄기성 을 유발하는 다양한 신호 경로를 통합적으로 차단합니다.
이를 통해 암줄기성이 높은 암종에서도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표적 단백질을 제거한 knockout mice가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점을 고려할 때, 해당 단백질을 억제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한 기전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아울러, 이 표적 단백질은 암줄기성이 높은 암에서 특히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를 저해하는 PMB212가 암줄기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게다가, 표적 단백질이 다양한 암종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PMB212는 여러 암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까지 이 표적 단백질을 저해하는 약물이 임상 단계에 진입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PMB212는 first-in-class
신약으로서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PMB298 (Candidate discovery) :
The 3rd generation immunotherapy

Third-generation cancer immunotherapy refers to the attempts targeting simultaneously immune checkpoints and the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with the goal of efficiently suppressing multiple aspects of negative immune regulation during immunotherapies.
Our third-generation immunotherapy is a small molecule designed to simultaneously inhibit two proteins that suppress anti-cancer immunity and generate immuno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ing candidate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 ability to enhance anticancer immunity and reprogram the immuno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

In fact, the lead compound in this project has shown efficacy in animal studies by activating CD8+T cells while suppressing Treg cells. As a result, it showed a higher CD8+T-cell/Treg-cell ratio than the control anti-PD-L1 antibody.

Targets for Reprogramiong
Tumor Micronvironment

Moiety for
reprograming
TME
Moiety for
immune
boosting

Targets for Small Molecule
Immuno-therapeutics
Combination
Multiple molecules with own functions
They are distributed separately and thus the each function may act in different places
Multitargeting
Single molecule with multiple mechanisms
It is distributed uniquely and all of its mechanisms act always in a same place

Discovery of new drug platforms

Additionally, we are discovering bispecific small molecules (BSM) and inhibitor drug conjugates (IDC) that are small molecules acting like bispecific antibodies, and antibody drug conjugates (ADC), respectively.
Lead compounds have been discovered, and currently, optimizations are in progress.
One of example for BSM is the above 3rdgeneration cancer immunotherapy.